허언증 테스트: 원인, 치료법, 비용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마인드센터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허언증(병적 거짓말증)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친구나 직장 동료 중 말이 자주 바뀌거나, 믿기 힘든 이야기를 반복해서 하는 사람이 있다면 '혹시 허언증 아닐까?'라는 의문이 드신 적 있을 거예요. 이 글에서는 허언증의 진단 방법, 원인, 치료법, 치료 비용까지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기반 정보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허언증이란?
허언증(Mythomania, Pathological lying)은 단순한 거짓말과는 다릅니다. 반복적이고 습관적으로 자신도 인지하지 못한 채 거짓말을 하는 심리적 장애로 분류됩니다. DSM-5(정신질환 진단통계편람)에서는 별도의 진단명으로 분류되진 않지만, 반사회적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일반화된 사례로 본 허언증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허언증 경향을 가진 사람들의 공통된 특성으로, 현실과 상상을 혼동하거나 자신의 이미지를 과장하여 표현하는 경향이 자주 관찰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과거에 유명 인사와 친분이 있었다고 반복적으로 주장하거나, 학력이나 경력을 실제보다 부풀리는 행동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과장이 아닌 병적 허언일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임상 보고와 사례연구(Lilienfeld et al., 2015)에서도 확인됩니다.
3. 허언증 자가진단 테스트 (20문항)
아래 항목 중 10개 이상 해당된다면 허언증 가능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상황에 맞지 않는 과장된 이야기를 자주 한다.
- 거짓말을 한 후에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 자신의 말이 사실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 거짓말이 발각돼도 웃어넘기거나 변명을 한다.
-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이야기를 꾸민다.
- 자신의 과거를 자주 왜곡해서 말한다.
- 사소한 일조차 거짓말로 포장한다.
- 허세 섞인 이야기를 자주 한다.
- 비현실적인 이야기임에도 주변 사람들은 처음엔 속는다.
- 꾸며낸 이야기를 기억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 자신이 피해자라는 식의 말을 반복한다.
- 감정적 반응으로 진실을 왜곡한다.
- 반복적으로 신뢰를 잃은 경험이 있다.
-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가 거짓말로 인해 틀어진 적 있다.
- 자신의 거짓말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린다.
- 거짓말을 지적하면 강하게 부정하거나 공격적으로 반응한다.
-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하다.
- 과거 일을 현재 일인 것처럼 말한다.
-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다.
- 진실을 말하기보다 자신의 이미지 유지가 더 중요하다.
10개 이상: 허언증 경향 매우 높음
4. 허언증의 주요 원인
허언증의 원인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1. 자존감 결핍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해지면서, 현실의 부족함을 보완하려고 과장하거나 꾸며냅니다.
2. 성장 환경
유년기에 정서적 방임이나 학대를 경험한 경우, 현실을 부정하거나 도피하는 수단으로 거짓말을 반복하게 됩니다.
3. 성격장애
특히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와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의 가치를 과도하게 포장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4. 외상 후 스트레스
과거의 충격적인 사건을 숨기거나, 현실을 왜곡해버리는 심리적 회피 기제로 작동합니다.
5. 치료법과 과정
허언증은 단순히 "정직하게 살자"는 도덕 교육만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심리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 심층면담: 무의식 속 원인을 파악하고 환자의 자기 인식을 돕습니다.
- 인지행동치료(CBT): 왜곡된 인지를 교정하여 거짓말의 패턴을 끊습니다.
- 감정 조절 훈련: 감정이 거짓말의 기제로 작동하는 것을 인식하게 합니다.
- 가족 치료: 가족 내에서 강화되던 거짓말 패턴을 바꿔나갑니다.
6. 치료 기간과 비용
대개 주 1회 상담 기준, 3개월~6개월 이상의 치료가 권장됩니다.
- 1회 상담 비용: 10만 원 내외 (지역, 기관에 따라 상이)
- 종합심리검사(PAI, MMPI 포함): 약 20~30만 원
- 보험 적용 여부: 비급여 항목, 실손보험 일부 보장 가능성 있음
서울대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 민간 심리상담센터 등에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7. 마무리하며
허언증은 단순한 습관이나 악의적 거짓말이 아니라, 심리적 문제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문제를 인식하고 정직하게 마주할 수 있다면, 회복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혹시 주변에 비슷한 특징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비난보다는 전문 상담을 권유해보는 게 가장 건강한 접근입니다.
참고 자료
- Ford, C. V. (1996). Lies! Lies!! Lies!!!: The Psychology of Deceit
-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Lilienfeld, S. O., Lynn, S. J., Namy, L. L., & Woolf, N. J. (2015). Psychology: From Inquiry to Understanding
-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가이드
'정신건강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파민 중독 테스트: 원인, 증상 및 치료방법 (0) | 2025.05.03 |
---|---|
불면증 테스트: 원인, 치료방법 및 비용 (2) | 2025.04.08 |
인지행동치료 CBT: 효과, 비용, 예시 (0) | 2025.04.07 |
조현병 테스트: 증상 및 치료법 (0) | 2025.04.02 |
성인 ADHD 테스트: 증상과 치료법 (0) | 2025.03.28 |